1. 어르신들을 위한 키오스크 사용법에 대해 시작하기
어르신들이 키오스크 사용 방법을 익히면 패스트푸드점, 은행, 공항 등 다양한 장소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키오스크란 터치스크린을 이용해 주문하거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무인 단말기지만 처음 접하는 어르신들은 화면을 어떻게 조작해야 하는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어르신들을 위한 키오스크 간단 사용 방법의 첫 번째 단계는 화면을 천천히 읽고 필요한 메뉴나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화면을 손가락으로 가볍게 터치하면 다음 화면으로 이동하므로, 급하게 조작하지 않고 하나씩 눌러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제 단계에서는 화면 안내를 따라 카드 삽입, 비밀번호 입력, 현금 결제 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화면에 표시되는 설명을 천천히 확인하면 실수 없이 결제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어르신들을 위한 키오스크 간단 사용 방법을 숙지하면 일상생활에서 보다 편리하게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어르신들을 위한 키오스크 사용법 배우기
2-1 대기화면에서 시작하기
키오스크를 처음 접하면 대기화면이 보입니다. 매장에 따라 화면 구성이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먹고 가기"**와 "포장하기" 두 가지 주문 방법이 있습니다.
- 매장에서 식사를 할 경우: **"먹고 가기"**를 선택하세요.
- 포장해서 가져갈 경우: **"포장하기"**를 선택하세요.
이후 단계로 진행되며, 선택을 잘못했을 경우 처음 화면으로 돌아가 다시 선택할 수 있습니다.
2-2 메뉴 선택하기
메뉴 화면이 나타나면 원하는 음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화면을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메뉴를 고르세요.
- 화면 밖에 있는 메뉴가 있을 경우, 화살표 버튼을 눌러 이동할 수 있습니다.
- 메뉴를 선택하면 세부 옵션(당도, 얼음양 등)을 조절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 단계를 통해 원하는 메뉴를 완벽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2-3 주문 확인하기
메뉴를 선택하면 화면 아래에 주문한 메뉴와 수량, 총 금액이 표시됩니다.
- 주문을 잘못했다면 메뉴 옆 X 버튼을 눌러 취소할 수 있습니다.
- 모든 메뉴 선택이 끝났다면 "확인" 버튼을 눌러 다음 단계로 이동합니다.
2-4 결제하기
결제 방법에는 카드 결제와 현금 결제 두 가지가 있습니다.
2-4-1 카드 결제 방법
- 카드 결제 버튼을 터치하기
- IC 칩이 있는 카드를 투입구에 넣기 (화면에 그림이 표시됩니다.)
- 결제가 완료되면 영수증이 출력하기
- 영수증에 있는 주문번호는 상품을 받을 때 필요하므로 반드시 챙겨 둬야 함
2-4-2 현금 결제 방법
키오스크는 대부분 카드 결제만 가능하지만, 일부 매장은 현금 결제도 지원합니다.
- 현금 결제 버튼을 터치하기
- 영수증 겸 주문서가 출력됩니다.
- 카운터로 가서 영수증을 보여주고 현금을 결제하세요.
- 결제 후 상품을 받을 수 있음
만약 키오스크에서 현금 결제가 불가능하다고 안내되어 있다면, 카운터에서 직접 주문하시면 됩니다.
3. 어르신들을 위한 키오스크 사용 시 주의할 점
3-1 손가락으로 터치하기
1.손톱이 아닌 손가락으로 눌러야 인식이 잘 됩니다.
2.터치가 잘 안 되면 2~3초 정도 길게 눌러보기
3-2 화면이 넘어가지 않거나 문제가 생기면 직원에게 도움을 요청하기
1. 주문 화면이나 결제 화면에서 오류가 발생할 경우, 당황하지 말고 주변 직원을 불러 도움을 받으세요.
4. 어르신들을 위한 키오스크 , 마무리하며
키오스크는 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몇 번만 연습하면 금방 익숙해질 수 있습니다. 어르신들도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이 가이드를 참고하시고, 직접 키오스크에서 주문을 시도해 보세요! 앞으로는 패스트푸드점이나 카페에서 쉽게 주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앞으로도 어르신들이 더 쉽게 디지털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건강 & 웰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 극복 치매 자아 진단 (2025년 4월) (2) | 2025.04.14 |
---|---|
질환 통증 vs 단순 통증(근육통), 허리 통증도 구분 필요 (2025년 4월) (0) | 2025.04.12 |
갑자기 생긴 허리 통증의 원인, Feat. 자세와 습관 점검 (2025년 4월) (1) | 2025.04.12 |